난독치료 및 경계선지능치료
난독증이란?
글을 정확하고 유창하게 읽지 못하고 철자를 정확하게 쓰기 힘들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장애의 한 유형으로 읽기장애라고도 합니다. 난독증의 치료는 보통 음운인식 훈련, 체계적인 파닉스 교육, 해독 훈련, 유창성 및 철자훈련의 순서로 이루어집니다.
유아기: 자기 이름을 쓰지 못하며 말소리를 어절로 분절하지 못하는 아동
초등학년 저학년: 익숙한 단어 이외에는 읽지 못하고 받침이 있는 단어를 읽지 못하며 받아쓰기가 어렵고 혼자서 문제를 풀거나 책읽기가 어렵지만 읽어주면 잘 이해하는 아동
초등학교 고학년: 책이나 글을 소리내어 읽을 때 느리게 읽으며 읽는 것을 힘들어하며 철자법이 많이 틀리고 책읽기를 힘들어하는 아동
청소년기: 소리내어 읽을 때만 이해가 가능하고 작문과 독해가 어렵고 철자법 실수가 빈번히 나타나는 아동
[초기단계]
[중기단계]
[종결단계]
초기단계
중기단계
종결단계
경계선 지능이란?
경계선 지능은 지적 장애 수준은 아니지만 평균보다 낮은 지능을 가지고 있으며 웩슬러 지능 검사* 결과 지능 지수(아래 IQ)가
85 이상 115 이하면 평균, 71 이상 84 이하면 경계선 지능에 해당됩니다.
전체 인구의 약 14% 정도 한 학급당 3명~4명 정도로 추정되는 아동들이 경계선 지능을 가지고 있습니다.
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들은 추상적인 개념들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보이며 집중하거나 다양한 학습과제들을 해결하는 것을
어려워합니다. 낮은 자존감과 친구를 사귀는 사회성 기술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.
* 웩슬러 지능검사는 개인의 인지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데이비드 웩슬러(David Wechsler)가 개발한 심리 검사 도구이며, 전 세계적으로
널리 사용되는 지능 검사 방식 중 하나입니다. 웩슬러 지능검사는 IQ(지능 지수)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, 개인의 인지 능력과 문제 해결력을 평가하는 핵심 도구입니다.